협업주제 |
---|
.1. 협업의 핵심 목표 청소년 내담자가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예술 기반 소통 콘텐츠를 제작한다. 참여 예술인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융합 콘텐츠를 개발하여, 내담자의 감정 해소와 정서적 성장에 기여한다. 단순한 교육이나 치료가 아닌, 공감과 예술적 자극을 통해 자발적 자기표현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2. 핵심 키워드 #소통 #청소년 #대화 #사회성 #공감 #자기표현 #세대갈등 #그림책 #감정치유 3. 대상: 오늘날 청소년의 특성 이해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잘 모름 → 자기 인식 부족 표현 능력 부족 → 말의 알맹이 없음, 의도 전달 미흡 감정 조절 및 소통 방식 미숙 → 충동적, 맹목적 행동 목표 설정과 자율성 약함 → 행복에 대한 인식 부족, 선택의 어려움 대화, 관계 형성의 어려움 → 세대 간 갈등, 단절감 →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감정 탐색, 자기 정체성, 감정 해소의 과정이 담긴 콘텐츠 필요. 4. 콘텐츠 방향 ▶ 콘텐츠 형태: 자기표현 그림책 + 연극/역할극 확장형 내담자 스스로 주인공을 만들어가는 그림책 (질문 + 감정 반응 + 스토리 흐름 구조) 대화체 형식의 스토리 구성: 예) 상담자와 내담자가 번갈아 대사처럼 읽는 형식 감정의 양면성(예: 무서움 vs 기대감, 분노 vs 슬픔 등)에 관한 내용 포함 질문 예시 포함: "내가 지금 가장 대화하기 어려운 사람은 누구인가?" "죽음에 대해 생각했을 때 어떤 감정이 드는가?" "나는 왜 이 감정을 자주 느끼는가?" QR코드를 통해 감정 낭독 영상, 위로 메시지, 연극적 퍼포먼스 연계 ▶ 활용 방식 완성된 그림책을 바탕으로 연극놀이, 역할극 수업 가능 감정 표현을 실천하며 자신감을 회복하고, 관계 회복까지 확장 5. 참여 예술인의 역할 분담 분야 역할 연극 스토리텔링 구성, 감정 표현 가이드, 대사 구성, 연극놀이 지도 무용 감정의 움직임 표현, 몸을 통한 자기 인식 활동 구성 미술 그림책의 시각적 표현, 주인공의 감정 상태를 상징화 영화 QR 영상 기획/촬영/편집, 내레이션 또는 위로 콘텐츠 제작 6. 협업의 특성 및 기대 효과 장르 융합의 강점으로,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다층적 예술 경험 제공 기존 치료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표현과 공감’ 중심의 예술 소통 콘텐츠 개발 청소년이 스스로를 탐색하고, 자신과 화해하며, 관계 속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회복하게 함 |
협업 키워드 |
#소통 #청소년 #대화 #사회성#그림책#공감#자기표현#세대갈등#위로#감정#행복 |
팀소개 |
팀명 : '위로 둘, 공감 셋' '위로 둘 공감 셋' 은 영화, 미술, 설치, 공예, 연극, 무용 등 다채로운 예술 장르의 작가들로 이루어진 팀이다.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공감을 전하는 컨텐츠 제작을 목표로 활동 하고 있다. 기업의 협업 이슈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치유 받을 수 있는 그림책을 제작하고 이를 통해 사람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했다. '소통' 이유와 대상을 고려하였을 때, 소통이 필요한 이유는 위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누군가를 위로하거나 위로 받아본 경험이 얼마나 있을까? 위로는 어떤 의미일까? 우리 팀이 얻은 결론은 필요한 순간의 적절한 위로를 통해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위로 둘, 공감 셋'팀의 다양한 경험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위로’를 주제로 그림책을 만들고자 한다. 예술가와 ‘가치담다마음연구소’의 협업을 통해, 예술이 가진 힘이 전달될 수 있는 그림책으로 청소년들에게 위로와 공감을 전하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위로가 예술인 자신에게도 위로가 되길 바란다. |
![]() |